반응형 전체 글304 플래그 CPU의 현재 상태나 연산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보여준다. 각 비트 위치는 각각의 이름이 주어져 있다. 다음 페이지 표에는 8086/8088 플래그 레지스터의 비트 위치를 보이고 있다.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0 ✖ ✖ ✖ ✖ O D I T S Z ✖ A ✖ P ✖ C O=Overflow D=Direction I=Interrupt T=Trap S=Sign Z=Zero A=Auxiliary Carry P=Parity C=Carry ✖=undefined 1.제어 플래그 방향(direction : DF),인터럽트(Interrupt : IF),트랩(Trap : TF)플래그로 구성되며 CPU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플래그 종류 기능 방향 플래그 (DF) MOV.. 2010. 11. 27. 레지스터 레지스터는 CPU 바로 안에 있는 고속 저장 장소이며 일반 메모리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접근되도록 설계되었다. 레지스터는 8개의 범용 레지스터와 6개의 세그먼트 레지스터, 프로세서 상태 플래그 레지스터와 명령어 포인터가 있다. 1.범용 레지스터 범용 레지스터는 계산과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된다. 각 레지스터는 하나의 32비트 값이나 두 개의 16비트 값으로 다룰 수 있다. 어떤 레지스터의 일부분은 8비트 값으로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32비트 EAX레지스터의 16비트 하위 반은 AX라는 이름을 갖고 AX 레지스터의 8비트 상위 반은 AH, 하위 반은 AL이라는 이름을 갖는다. 32비트 16비트 8비트(상) 8비트(하) EAX AX AH AL EBX BX BH BL ECX CX CH CL EDX DX.. 2010. 11. 27. IA-32 프로세스 구조 IA-32프로세서는 보호 모드, 실제 주소 모드, 시스템 관리 모드의 세 가지 주요 동작모드를 갖는다. 가상 8086 모드는 보호모드의 특별한 경우이다. 동작모드 설명 보호 모드 모든 명령어와 특징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서의 고유한 상태이다. 프로그램은 세그먼트라고 하는 분리된 메모리 영역이 주어지며 프로세서는 지정된 세그먼트 바깥의 메모리를 참고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상 8086 모드 보호 모드에서 프로세서는 MS-DOS 프로그램과 같은 실제 주소 모드 소프트웨어를 안전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MS-DOS 프로그램에 이상이 있거나 데이터를 시스템 영역에 쓰려고 할 때에 동시에 수행되는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실제 주소 모드 다른 모드로 전환하는 .. 2010. 11. 27. 메모리 (Memory) 1. RAM (1)DRAM (Dynamic RAM) : 미소한 콘덴서에 전하를 축적함으로써 정보를 기억한다. 일정시간마다 기억 내용을 다시 재생해주는 재생회로가 필요하다. 전력소모가 작고 칩당 기억용량이 매우 크므로 고밀도화를 이룰 수 있으나 임의의 시점에서 리드와 라이트가 불가능하므로 주로 대용량의 기억장치 구성에 적합하다. (2)SRAM (Static RAM) : 전원 공급이 유지되는 한 저장 내용을 계속 기억하는 RAM 으로 제어가 간단하며 고속이므로 소용량의 기억장치 구성에 적합하다. 특징으로는 플립플롭 논리 게이트에 의한 기억 소자로 회로가 복잡하며 기억밀도가 작고 읽기 쓰기를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DRAM처럼 재생할 필요가 없다. 2.ROM (1)MASK ROM : 공장에서 대량 주.. 2010. 11. 27. 시스템의 기동 순서(Windows) ①CPU는 롬 바이오스 내의 초기화 프로그램으로 점프한다. 부트스트랩 로더라 불리는 프로그램이 시작 드라이브로 지정된 드라이브로부터 부트 레코드를 가져와 메모리에 보관한다. 부트 레코드는 장착되자마자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io.sys, msdos.sys를 차례로 메모리에 보관한다. 마지막으로 메모리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MS-DOS 명령처리 프로그램인 command.com이다. ②command.com의 상주 부분은 항상 메모리에 남아 있다. 이는 오류 메시지를 발생시키며 Ctrl+Break나 긴급한 오류를 처리하는 루틴들을 가지고 있다. 비상주 부분은 램 메모리 상위 부분에 장착되어 키보드에서 입력되는 명령을 해석한다. ③다음으로 config.sys 파일을 실행하는데 이 파일은.. 2010. 11. 27. SSH 인증키 생성 #ssh-keygen -t rsa1 -f /etc/ssh/ssh_host_key #ssh-keygen -t rsa -f /etc/ssh/ssh_host_rsa_key #ssh-keygen -t dsa -f /etc/ssh/ssh_host_dsa_key #/etc/init.d/ssh start 2010. 11. 21.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