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aging1 페이징 (Paging) 공간구역성 -프로세스가 특정메모리 위치에 접근을 하면 그 주변 메모리에 접근할 확률이 높음 시간구역성 -최근 액세스한 메모리는 다시 액세스 될 확률이 높음 문맥 교환이 일어날 때 프로세스 전체를 스와핑 하지 않고 액세스가 발생한 일정한 작은 영역에 한해서 스와핑한다. 이렇게 페이징을 사용하면 잦은 스와핑으로 인한 처리 지연 문제도 해결되고 한 영역의 크기를 일정하게 (일반적으로 4kb) 나누어 사용하면 외부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 대신 내부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는데 마지막 한 페이지 등에 매우 한정적으로 발생하기때문에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나누어진 실제 메모리 구획 : 프레임 나누어진 프로세스 구획 : 페이지 하지만 페이지가 메모리에 로드된 순서대로 프레임에 배치되면 코드가 뒤죽박죽이 되고 프로세스의 .. 2010. 12.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