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scriptor1 세그먼테이션 (Segmentation) 코드가 있는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가 있는 메모리 영역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일반 데이터를 인스트럭션 등으로 해석해버리는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다. 따라서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등을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이것을 세그먼테이션이라고 한다. 페이징과는 달리 한 구획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단순히 크기대로 자르는 대신 사용 용도에 따라 나누어지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는 세그먼트 레지스터만 설정하면 절대 주소 체계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사용용도 또한 논리적으로 제약이 가능해 메모리 액세스에 대한 차등 권한을 줄 수 있다. 실제로는 세그먼테이션과 페이징의 장점을 결합하여 사용된다. CPU가 생성한 논리주소는 세그먼트 레지스터(16bit)와 오프셋(32bit)으로 구성되고 세그먼트 레지스터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세.. 2010. 12.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