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9.28 Tacademy 안드로이드 8일차 메모

SQLite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파일 기반 데이터베이스 외부키를 지원하지 않기때문에 트리거를 통해 구현해야한다. 컨텍스트 : 안드로이드가 모든 어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선물 setLickingEnables 트랜젝션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트랙젝션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는것을 방지해줌 compileStatement : preparedStatement와 비슷 rawQuery : Content Provider에서는 사용 불가 for문에서 length 값을 직접 참조하기 보다는 변수에 값을 저장하고 그 변수를 이용해서 반복문을 도는게 좋다. c:\Docum~\administrator>adb shell … Read more

2011.09.27 Tacademy 안드로이드 7일차 메모

데이터베이스 웬만하면 사용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을 적절히 파악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XML이 빠름) droidAtScreen 폰 화면 불러오는 파일 안드로이드 환경설정관리 android:dependency 다른 환경설정의 설정여부에 따라 활성화 비활성화 시킴 stream : 흐름 가장 먼저 source target 파악이 필요 통신을 위해서는 스트림(흐름)을 만들어야하고 스트림은 생성자를 통해 생성한다.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소스, 타겟 클래스를 결정 지어야해야한다. 바이트 데이터는 … Read more

2011.09.26 Tacademy 안드로이드 6일차 메모

안드로이드 네트워킹 개발시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려면 초기 설계 단계부터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JSON] 자바스크립트를 객체화해서 통신 (엔터테인먼트 앱, 아이폰에서 많이 사용) 무겁기 때문에 웬만하면 사용하지않는 것을 권장 [XML] XML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통신 (정형화된 방식이 있음) 파서가 필요함 (웹은 대부분 DOM ,앱은 대부분 SAX) [SOAP] WSDL (KSOAP2 라이브러리 임포트가 필요함) 원격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원리 웹 + … Read more

Android 손전등 어플 만들기

FlashLight.apk 다운로드 FlashLightProject.zip 다운로드 우선 적당한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을 한다. AndroidManifest.xml 파일을 열어 Activity 탭을 선택한 뒤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자동으로 생성된 액티비티의 Theme 속성의 Browse를 선택한다. SystemResources 중 Theme.NoTitleBar.Fullscreen을 선택한다. ※Notification 영역과 Title 영역을 모두 꽉 채우기 위해서 설정한다 그다음 Permissions 탭으로 넘어가서 Uses Permission을 추가한다. 새로 생성한 Uses Permission 값으로 android.permission.CAMERA를 선택한다. ※카메라의 … Read more

2011.09.23 Tacademy 안드로이드 5일차 메모

AsyncTask onPreExecute onProgressUpdate onPostExecute 는 메인쓰레드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UI 변경이 가능하다. doInBackground 는 별도 쓰레드에서 실행되는것으로 간주하기때문에 UI를 변경하면 안 된다. onPreExecute – > doInBackground -> onPostExecute

2011.09.22 Tacademy 안드로이드 4일차 메모

화면을 다시 그릴때는 invalidate()를 호출한다. 쓰레드 내부에서는 UI 변경을 하면 안된다. Paint.measureText 는 글자의 너비를 계산해준다. 모바일은 기본적으로 더블버퍼링을 사용한다 실제 화면 – 프레임 버퍼 안드로이드에서 더블버퍼링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그리면 실제로는 실제 화면 – 프레임 버퍼 – 캐시 버퍼 방식으로 트리플 버퍼링이 된다. 매번 다시 그릴 필요가 없어 속도가 빨라지지만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 Read more

AVD & Eclipse 주요 단축키

1.AVD (Android Virtual Device) -F8 : 네트워크 On / Off 설정이 가능하다. 개발시 네트워크 환경에대한 테스트가 가능하다. -Ctrl + F11 : 화면 회전이 가능하다. 개발시 기기 화면 전환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하다. 2.Eclipse -Ctrl + Shift + S : 변경된 파일 모두 저장 -Ctrl + B : 프로젝트 빌드 -Ctrl + F11 : 프로젝트 실행 -Ctrl … Read more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구성

-src : 실질적인 소스들을 작성되는 .java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이다. -gen : 각종 리소스들의 id 값이 작성되어 있는 R.java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이다. ※이클립스에서 자동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개발자가 임의적으로 수정하여서는 안 된다. -assets & res : 각종 리소스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 assets는 하위 디렉토리 생성이 가능하나 res는 불가능하다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AndroidManifest.xml : 각종 속성 및 설정값들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생성하기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는 File>New>Android Project 를 누르면 생성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명을 적당히 작성하고 Build Target에 개발하고자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버전을 선택해준 뒤 패키지명을 작성해주면 모든 설정이 완료된다. 패키지명은 두 단계 이상으로 설정하며 프로젝트 명과 도메인 주소를 역순으로 섞어 쓰는 방법이 무난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해야한다.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로 쓰인다.)

2011.09.21 Tacademy 안드로이드 3일차 메모

모든 뷰는 생성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클래스 생성시 constructors from super class 를 체크하면 생성자가 자동 생성된다. 이벤트 함수에서 리턴 타입이 boolean일 경우 반환값이 true면 이벤트 처리를 완료하고 false라면 다른 곳에서 처리한다. 매니페스트 파일에서 액티비티 속성에 Screen orientation 값을 설정하면 초기 화면 가로세로 설정이 가능하다. 방향전환시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게 하려면 매니페스트 파일 액티비티 속성에서 config … Read more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