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계열 mysql 설치

www.mysql.com 에서 mysql 커뮤니티 서버 5.0 버전으로 운영체제 선택창 맨 아래 있는 소스 파일 선택하고 Compressed GNU TAR archive (tar.gz) 요걸로 선택해서 다운받은뒤 압축 풀고 압축 푼 파일 안에서 아래 명령어 실행 ㅇㅅㅇ VMware 환경이라면 그냥 복사 붙여넣기 신공으로 하면 간편하게 설치 완료!! 뭐, 설치하는 시점에 따라 mysql 버전이 5.0.67이 아니라 딴 걸로 바뀔 수 … Read more

(AMD)XP 설치 후 AHCI 활성화 하기

XP_32-bit_Mod.zip 다운로드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2&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2562   많이 알려진 인텔 칩셋의 방법이 아닌 AMD 칩셋(SB600)으로 AHCI모드를 활성화 하는 방법입니다. 국내 웹은 아무리 뒤져도 없고 독일 기가바이트 포럼에 자료가 있더군요. 링크걸었습니다. 전혀 모르는 독일어인지라 눈치껏 따라 해 봤는데 다행히 되더군요.  사파이어 사의 690G 보드(PI-AM2RS690MHD)에서 HDD로 한 번 SSD로 두 번 테스트 후에 올립니다. SB700도 되는지는 보드가 없어 테스트하지 못했습니다. … Read more

ICMP 메세지

번호 메세지 뜻 1 Echo Reply Ping에 대한 응답 3 Destination Unreachable 도달 불가능. 원인을 Code에 기록 4 Source Quench 트래픽 증가로 지연 중 5 Redirect 다른 라우터를 경유하도록 요청 8 Echo Ping 요청 11 Time Exceeded 시간 초과(TTL이 0이 됨) 12 Parameter Problem IP패킷 옵션에러 13 Timestamp 현재시간 요청 14 Timestamp Reply 현재시간 응답 … Read more

TCP/IP 계층

1. TCP/IP의 계층 TCP/IP의 계층은 4계층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OSI 7 layer층에는 다음 그림과 같이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TCP/IP의 4계층의 구조도는 다음과 같고, 각각 다음의 기능들을 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Layer) 계층 이 층은 상위 층에서 내려온 패킷(packet)에 프레임헤더와 CRC 체크를 위한 트레일러(trailer)를 붙여서 프레임(frame)을 만듭니다. 이 패킷을 일련의 비트 스트림(bit stream)으로 바꿔, 물리적인 회선에 … Read more

OSI 7계층

  캡슐화 순서 응용계층(Message) ↓↓↓↓↓↓↓↓↓↓↓ 전송계층(Segment) ↓↓↓↓↓↓↓↓↓↓↓ 네트 워크 계층(Packet) ↓↓↓↓↓↓↓↓↓↓↓ 데이터링크 계층(Frame) ↓↓↓↓↓↓↓↓↓↓↓ 물리계층(Bit or Signal) OSI 7계층의 데이터 전송과정 OSI 7계층의 데이터 전송과정과 각 프로토콜별 또는 레이어별로 특성을 갖기 위해 주어진 이름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응용프로그램 –(데이터) –> TCP –(TCP Segment)–> IP –(IP Datagram)–> Hardware –(Frame) –> 목적지 Hardware –(IP Datagram)–> IP –(TCP … Read more

MTU 최대값

네트워크마다 데이터링크 계층 프레임으로 송신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크기(MTU)를 서로 다르게 제한하고 있는데 IP는 다양한 네트워크 하드웨어 종류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CP 플래그

SYN : TCP connection의 최초접속 시 연결의 확립을 요구하는 동기 요구 플래그 ACK : 응답 확인 플래그 PSH : 데이터를 버퍼링하지 않고, 즉석에서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것을 요구하는 플래그 URG : 긴급 포인터 플래그 FIN : 접속 종료 플래그 (정상 종료) RST : 접속 종료를 위한 리셋 플래그 (비정상 종료)

FTP 명령 & 응답

주요 FTP 명령 o ABOR : 현재 전송중인 파일 전송 중단 o CWD : 작업 디렉토리 변경 o DELE : 원격지 파일 삭제 o LIST : 원격지 파일 목록 보기 o MDTM : 파일의 수정 시간 보기 o MKD : 원격 디렉토리 생성 o MODE : 전송 모드 변경 o NLST : 원격 디렉토리 목록 … Read more

바로가기